[페미니즘] 페미니즘의 논쟁적 쟁점으로 보는 『젠더 트러블』
강사 조현준
개강 2011년 1월 25일부터 매주 화요일 저녁 7시 30분 (6강, 78,000원)
강좌취지
버틀러는 잘 알려져 있듯 쟁쟁한 현대 철학자들의 이론에 비판적이고 급진적인 문제제기를 하는 논쟁적 사상가이다. 본 강좌는 2008년 번역된 『젠더 트러블』의 꼼꼼한 읽기를 통해 버틀러가 비판의 대상으로 삼는 현대 철학자와 페미니스트간의 의견 갈등과 불일치의 쟁점을 꼼꼼히 찾아 비판점은 무엇이고 그 비판이 타당성을 갖는지 면밀히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. 보봐르, 이리가레, 리비에르, 라캉, 프로이트, 크리스테바, 푸코를 거슬러 읽는 버틀러의 비판점은 무엇이고 그 비판방식이 타당한지 텍스트의 꼼꼼한 읽기를 통해 이 논쟁적 글쓰기의 의미와 의의를 살펴본다.
1강 여성 없는 페미니즘: 비정체성의 정치학
상영: 폴 자데르만 <주디스 버틀러, 제 3의 철학> 인터넷 자료
2강 이원론과 일원론을 너머: 보봐르와 이리가레
상영: (사)한국여성연구소 <미인시대> VHS 자료
3강 가면의 전략들: 리비에르와 라캉
상영: 제니 리빙스턴 <파리는 불타고 있다> VHS 자료
4강 젠더 우울증: 프로이트
상영: 가브리엘 바우어 <비너스 보이즈> DVD 자료
5강 몸의 정치학: 크리스테바
상영: 단편 영화 <신호> (12분) VHS 자료
다큐 <여성의 몸과 출산> (사) 한국 여성 연구소
6강 에르퀼린 바르뱅: 푸코
상영: 아스트라 테일러 <이그재민드 라이프> DVD 자료
참고문헌
Butler, Judith. Antigone’s Claim. New York: Columbia UP, 2000.
―――. "Left Conservatism II." Theory and Event 2.2 (Summer 1998): 1~5.
―――. "Politics, Power and Ethics: A Discussion Between Judith Butler and William Connolly." Theory and Event 4.2 (Summer 2000): 1~16.
―――. "Question and Answer Period UC, Santa Cruz, 1/31/98." Theory and Event 2.3 (Fall 1998): 1~18.
―――. "The Value of Being Disturbed." Theory and Event 4.1 (Spring 2000): 1~13.
―――. Bodies That Matter: On the Discursive Limits of “Sex”. New York: Routledge, 1993.
―――. Excitable Speech: A Politics of Performative. New York: Routledge, 1997.
―――. Gender Trouble: Feminism and the Subversion of Identity. New York: Routledge, 1990.
―――. Preface to What’s Left of Theory?: New Work on the Politics of Literary Theory. Eds. Judith Butler, John Guillory, and Kendall Thoman. New York: Routledge, 2000.
―――. Subjects of Desire: Hegelian Reflections in Twentieth-Century France. New York: Columbia UP , 1999.
―――. The Psychic Life of Power: Theories in Subjection. Stanford: Stanford UP , 1997.
―――. “A ‘Bad Writer’ Bites Back.” New York Times. March 20, 1999.
―――. “Against Proper Objects.” Feminism Meets Queer Theory. Eds. Elizabeth Weed and Naomi Schor. Bloomington: Indiana University, 1997.
―――. “Contingent Foundations.” Feminist Contentions: A Philosophical Exchange. Ed. Linda Nicholson. New York: Routledge, 1995.
―――. “Contingent Foundations: Feminism and the Question of ‘Postmodernism’.” Feminists Theorize the Political. Eds. Judith Butler & Joan W. Scott. New York: Routledge, 1992.
―――. “For a Carefual Reading.” Feminist Contentions: A Philosophical Exchange. Ed. Linda Nicholson. New York: Routledge, 1995.
―――. “Foucault and the Paradox of Bodily Inscriptions.” The Body: Classic and Contemporary Readings. Ed. Donn Welton. Oxford: Blackwell, 1999.
―――. “Gender as Performance.” A Critical Sense: Interviews with Intellectuals. Ed. Peter Osborne. New York: Routledge, 1996.
―――. “Gender, Trouble, Feminist Theory, and Psychoanalytic Discourse.” Feminism/Postmodernism. Ed. Linda Nicholson. New York: Routledge, 1990. (주디스 버틀러. 「성차의 문제점과 페미니스트 이론, 그리고 정신분석학 담론」. 이은경 역. 『세계사상』 4호 (1998): 58~77.)
―――. “Imitation and Gender Insubordination.” Inside/Out. Ed. Diana Fuss. New York: Routledge, 1991.
―――. “Performative Acts and Gender Constitution: An Essay in Phenomenology and Feminist Theory.” Performing Feminism. Ed. Sue-Ellen Case. Baltimore: Johns Hopkins UP . 1990.
―――. “Restaging the Universal.” Contingency, Hegemony, Universality: Contemporary Dialogues on the Left. Eds. Judith Butler, Ernesto Laclau and Slavoj Žižek. New York: Verso, 2000.
―――. “The Body Politics of Julia Kristeva”. Revaluing French Feminisms: Critical Essays on Difference, Agency and Culture. Eds. Nancy Fraser & Sandra Lee Bartky. Bloomington: Indiana UP, 1992.
강사소개
『젠더 트러블』역자, 경희대 교양학부 객원교수.
번호 |
제목
|
글쓴이 |
|
|
65 |
[철학] 들뢰즈의 씨네마톨로지: 이미지의 발생과 창조적 소멸 (강사 : 조성훈)
|
김정연 |
2011-08-25 |
3675 |
64 |
[역사] 랑시에르와 ‘주체화의 역사(서술)’: 『역사의 이름들』을 중심으로 (강사 : 안준범)
|
김정연 |
2011-08-25 |
3867 |
63 |
[철학] 스피노자와 우리 (강사 : 조현진)
|
김정연 |
2011-08-25 |
3696 |
62 |
[영화] 현대영화의 작가전략 (강사 : 김성욱)
|
김정연 |
2011-08-22 |
3534 |
61 |
[과학] 세상을 바꾼 과학논쟁 - 과학과 사회, 두 문화의 즐거운 만남을 상상하다 (강사 : 강윤재)
|
김정연 |
2011-08-20 |
3408 |
60 |
[생태]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희망 - 농민인문학 (강사 : 김재형, 김도연)
|
김정연 |
2011-08-17 |
2541 |
59 |
[세미나+강좌] 『제국』 읽기 (3) (길잡이 : 오정민, 총괄강좌 : 조정환)
|
김정연 |
2011-08-17 |
3060 |
58 |
[철학] 조르조 아감벤의 언어신학 (강사 : 조효원)
|
김정연 |
2011-08-17 |
3375 |
57 |
[청춘] 낯선 저녁 (강사 : 이인)
|
김정연 |
2011-08-17 |
3542 |
56 |
[언어정원] 기초 불어 문법 (강사 : 방현주)
4
|
김정연 |
2011-08-17 |
3881 |
55 |
[언어정원] 『어린왕자』 불어로 함께 읽기 (강사 : 방현주)
|
김정연 |
2011-08-17 |
3126 |
54 |
[문학] 현대문학의 걸작 깊이 읽기, 그리고 쓰기 (강사 : 표명희)
|
김정연 |
2011-08-17 |
3053 |
53 |
2011년 3분학기 프로그램 팜플렛 pdf 파일입니다~ (출력해서 사용하세요!)
|
오정민 |
2011-06-08 |
3218 |
52 |
2011년 3분학기 프로그램 시간표
|
오정민 |
2011-06-08 |
8157 |
51 |
[생태] 인문으로 읽는 동학 / 『동경대전』 읽기 (강사 : 김재형, 김도연)
|
오정민 |
2011-05-31 |
3243 |
50 |
[세미나강좌] 삶정치 시대의 권력과 혁명 7 : 총체적 포섭 시대의 자본과 혁명: 질 들뢰즈․ 펠릭스 가타리의 『천 개의 고원』읽기 (강사 : 조정환)
|
오정민 |
2011-05-30 |
5460 |
49 |
[세미나+강좌] 『제국』 읽기(2) (길잡이 오정민, 총괄강사 조정환)
2
|
오정민 |
2011-05-25 |
4958 |
48 |
[청춘] 야한 인문학 - 우리의 밤은 당신의 낮보다 아름답다 (강사 : 이인[꺄르르])
|
오정민 |
2011-05-25 |
3806 |
47 |
[영화] 감각의 영화이론 (강사 : 김성욱)
|
오정민 |
2011-05-25 |
4269 |
46 |
[철학] ‘사이’: 현대 비판철학의 에토스 (강사 : 한보희)
|
오정민 |
2011-05-25 |
3526 |
45 |
[문학] 현대문학의 걸작 깊이 읽기, 그리고 쓰기 (강사 : 표명희)
|
오정민 |
2011-05-25 |
3446 |
44 |
[미학] 플럭서스와 존 케이지, 요제프 보이스, 백남준 (강사 : 전선자)
|
오정민 |
2011-05-25 |
3035 |
43 |
[언어정원] 기초 불어 문법 (강사 : 방현주)
|
오정민 |
2011-05-25 |
3242 |
42 |
[언어정원] 『어린왕자』 불어로 함께 읽기 (강사 : 방현주)
1
|
오정민 |
2011-05-25 |
4029 |
41 |
[철학] 『창조적 진화』 읽기 (강사 : 류종렬)
|
오정민 |
2011-05-25 |
3387 |
40 |
[철학] 현상학과 해석학 (강사 : 김동규)
|
오정민 |
2011-05-25 |
4583 |
39 |
2011년 2분학기 프로그램 배치표입니다.
|
김정연 |
2011-03-04 |
9947 |
38 |
[세미나+강좌] 『제국』 읽기 (길잡이 오정민, 총괄강좌 조정환)
2
|
김정연 |
2011-02-28 |
6164 |
37 |
파노라마>> [기획-철학] 현대 프랑스 철학의 거장들 (강사 : 김재희 외)
4
|
김정연 |
2011-02-28 |
7404 |
36 |
[언어정원] 영문법 기초 강의 (강사 : 조선희)
|
김정연 |
2011-02-28 |
5209 |
35 |
[신학] 정신분석적 성서읽기: 창세기원역사(창세기 1~11장) 읽기 (강사 : 정혁현)
|
김정연 |
2011-02-28 |
5565 |
34 |
[미학] 플럭서스와 그 예술가들 (존 케이지, 요제프 보이스, 백남준을 중심으로) (강사 : 전선자)
|
김정연 |
2011-02-28 |
5533 |
33 |
[철학] 공동체, 타자, 글쓰기: 모리스 블랑쇼를 중심으로 (강사 : 박준상)
|
김정연 |
2011-02-28 |
5942 |
32 |
파노라마>> [기획-정치] 인지의 과학과 정치학 (강사 최호영 외)
|
김정연 |
2011-02-28 |
4879 |
31 |
[언어정원] 『어린왕자』 불어로 함께 읽기 (강사 : 방현주)
|
김정연 |
2011-02-28 |
4781 |
30 |
[언어정원] 기초 불어 문법 (강사 : 방현주)
|
김정연 |
2011-02-28 |
4775 |
29 |
[청춘] 어른이란 무엇인가? (강사 : 이인)
4
|
김정연 |
2011-02-28 |
6200 |
28 |
[언어정원] 글쓰기 워크샵 (현장실습) (강사 : 이남희)
2
|
김정연 |
2011-02-28 |
5312 |
27 |
파노라마>> [기획-정치] 메트로폴리스와 정치 (강사 임동근 외)
|
김정연 |
2011-02-28 |
5020 |
26 |
[세미나강좌] 삶정치 시대의 권력과 혁명 6 : 현대자본주의의 기원과 스펙타클의 사회 (강사 : 조정환)
|
김정연 |
2011-02-28 |
5480 |
25 |
[역사] 68 이후의 자율성과 상상력의 사회운동사 (강사 : 강정석)
|
김정연 |
2011-02-28 |
4163 |
24 |
파노라마>> [기획-예술] 예술가란 무엇인가? (강사 : 조영일 외)
2
|
김정연 |
2011-02-28 |
5562 |
23 |
[사회] 중동의 사회와 문화 (강사 : 유달승)
|
김정연 |
2011-02-28 |
4775 |
22 |
[생태] 2011년 2분학기 곡성 다지원 프로그램 ― 언어 - 자본주의 세계화 흐름을 뒤집는 핵심 전략 : 정명(正名) (강사 : 김재형, 김도연)
|
김정연 |
2011-02-27 |
3628 |
21 |
[영화] 고다르의 영화혁명 2 : 80년대의 고다르 (강사 : 김성욱)
|
김정연 |
2011-02-27 |
5415 |
20 |
2011년 1분학기 프로그램 배치표
1
|
김정연 |
2010-12-06 |
12846 |
19 |
[기획-공간] 메트로폴리스 프로젝트 ― 우리에게 대도시는 무엇이며, 무엇일 수 있는가? (강사 심광현, 고지현 외)
2
|
우공 |
2010-11-26 |
6341 |
18 |
[철학] 해석학이란 무엇인가? (강사 김동규)
|
우공 |
2010-11-26 |
5456 |
17 |
[언어정원] 기초 불어 문법 (강사 방현주)
|
우공 |
2010-11-26 |
5001 |
 |
[페미니즘] 페미니즘의 논쟁적 쟁점으로 보는 『젠더 트러블』 (강사 조현준)
|
우공 |
2010-11-26 |
6594 |
15 |
[청춘] 내가 춤출 수 없다면 혁명이 아니다 (강사 최세진)
|
우공 |
2010-11-26 |
4817 |
14 |
[세미나강좌] 그람시: 실질적 포섭 시대와 맑스주의의 전환 (강사 조정환)
|
우공 |
2010-11-26 |
4668 |
13 |
[청춘] <청춘대학>, 인문학으로 젊음과 꿈을 되찾다 (강사 고미숙, 이택광 외)
|
우공 |
2010-11-26 |
5698 |
12 |
[철학] 베르그송 사상에서 신체와 기억 (강사 류종렬)
|
우공 |
2010-11-26 |
4539 |
11 |
[철학] 지젝이 어쨌다구? : 욕망에서 공산주의까지 (강사 한보희)
|
우공 |
2010-11-26 |
5336 |
10 |
[기획-미학] 플럭서스의 예술실천, 예술이론 그리고 쟁점들: 존 케이지, 요셉 보이스, 백남준 (강사 전선자, 김진호 외)
|
우공 |
2010-11-26 |
5612 |
9 |
[사회학] 예술을 유혹하는 사회-학 (강사 김동일)
|
우공 |
2010-11-26 |
4946 |
8 |
[신학] 라캉주의와 신학 (강사 정혁현)
|
우공 |
2010-11-26 |
5053 |
7 |
[언어정원] 글쓰기 워크샵 (현장실습) (강사 이남희)
|
우공 |
2010-11-26 |
4806 |
6 |
[과학] 『종의 기원』 깊이 읽기! (강사 박성관)
|
우공 |
2010-11-26 |
4581 |
5 |
[언어정원] 기초 일본어 문법 (강사 김세영)
|
우공 |
2010-11-26 |
4987 |
4 |
[강좌+세미나] 『네그리의 제국 강의』로 네그리 사상 이해하기 (강사 조정환)
|
오정민 |
2010-11-26 |
4651 |
3 |
[철학] 아감벤을 따라 읽는 현대사상의 임계점 (강사 김항)
|
우공 |
2010-11-26 |
4939 |
2 |
[문학] 천일야화, 숨은 코드 찾기 (강사 김하경)
|
우공 |
2010-11-26 |
4725 |
1 |
[생태] 2011년 1분학기 곡성 다지원 프로그램 ―『삶은 기적이다』 : 웬델 베리 읽기 (강사 김재형)
|
우공 |
2010-11-26 |
4158 |